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Talk IT)

티스토리 플러그인 소셜댓글(라이브리.LiveRE) 장단점, 주의할 점

티스토리 플러그인 소셜댓글(라이브리.LiveRE) 장단점, 주의할 점


이 글의 처음 제목은 "티스토리 시작할 때 처음부터 라이브리(LiveRE) 사용하자" 였습니다.  그런데, 자세히 알아보니 단점이 몇가지 발견되어 제목을 바꾸게 되었네요.  큰일 날 뻔했습니다.  ^^

 

제목을 바꾸게 되어 써 놓았던 글을 대부분 삭제하느라 시간 낭비했지만 그래도 제대로 알게 되었으니 만족해야겠죠.  ㅡㅡ

 

 

 

소셜 댓글 라이브리(LiveRE) 단점, 주의할 점

 

1. 아래 그림처럼 두 개의 댓글 공간이 발생되어 소셜댓글 서비스가 추가로 있다는 사실을 모르시는 분들은 혼동할 수 있습니다.  제가 처음에 약간 혼동했거든요.  ^^  하지만, 이건 단점이라기엔 약하죠.

 

 

 

 

2. 라이브리(LiveRE) 소셜댓글 서비스를 통해 댓글 남기신 분들께는 추가로 로그인하여 댓글의 답변을 남겨드려야 합니다.  아래 그림처럼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댓글 서비스는 제가 블로그 주인이기 때문에 추가 로그인이 필요 없지만 라이브리(LiveRE)는 추가로 로그인하여 댓글을 남겨야 상대방이 블로그 주인인 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댓글 "감춤" 기능을 사용하여 라이브리(LiveRE)를 기본 댓글 창으로 사용하더라도 로그인은 해야 합니다.

 

 

 

 

3. 본인이 직접 라이브리(LiveRE) 서비스를 해지하거나 라이브리 제작회사의 사정으로 서비스가 중단될 경우 기존의 댓글이 모두 삭제됩니다.  회사 사정으로 중단되게 된다면 삭제가 안될 수도 있겠지만 본인이 직접 서비스를 해지하면 라이브리(LiveRE)를 통한 댓글은 삭제된다고 합니다.

 

해당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에 남겨진 글은 삭제되지 않겠죠.

 

 

 

4. 아래 그림처럼 티스토리 댓글을 "감춤" 설정하더라도 모바일(스마트폰)에서는 "댓글쓰기"를 하면 티스토리 댓글로 남겨지며 이럴 경우 PC화면에서는 볼 수가 없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댓글은 있다는데 확인이 안됩니다.  단, 블로그 주인은 [관리 모드]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물론, 티스토리 댓글 "감춤" 기능을 사용하지 않으면 되지만 이렇게 연동이 안되려면 "감춤" 기능을 설정하지 못하게 해야 되지 않을까요?  ^^  모르고 "감춤" 기능을 사용했던 분들은 나중에서야 알게 되겠죠.

 



 

5. J쿼리와 충돌이 발생합니다.  저는 J쿼리를 이용하여 본문이나 사이드바 모서리를 모두 둥글게 설정해놓았는데 플러그인에서 라이브리(LiveRE)를 사용하는 순간 전처럼 모두 모서리가 날카롭게 각이 생겼습니다.  ^^  이 부분은 플러그인으로 사용하지 않고 따로 라이브리 코드 생성으로 직접 소스를 사용하면 해결된다고 하나 귀찮아서 그냥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

 

 

 


 

 

소셜 댓글 라이브리(LiveRE) 장점

 

라이브리(LiveRE)를 사용하는 주목적이 바로 장점이겠죠.  다른 소셜 서비스와 소통이 되니까요.  댓글을 달 때 티스토리 계정이 없어도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네이버), 요즘(다음), 싸이월드(네이트)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댓글을 달 수 있으며 그 댓글에 답변이 달릴 경우 댓글을 남긴 해당 계정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장점으로 저는 그냥 처음부터 라이브리(LiveRE)를 기본 댓글 창으로 사용하려 했는데 단점 때문에 기본 댓글창으로 설정하지 않고 댓글 남길 수 있는 공간을 두 곳으로 놔두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장점도 될 수 있고 단점도 될 수 있는 점이 있습니다.

 

라이브리(LiveRE)의 댓글은 삭제할 수 있지만 수정은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소셜댓글이란 특징 때문에 트위터나 페이스북처럼 수정할 수 없는 프로세스이기 때문이랍니다.  하지만 그만큼 투명하다고 생각됩니다.  나중에 댓글을 수정하여 이상한 짓을 할 수 없을 테니까요.  ^^

 

 

 

그럼, 지금까지 소셜댓글(라이브리.LiveRE) 장단점과 주의할 점을 알아봤는데요.  소셜댓글(라이브리.LiveRE)를 사용하실 때 참고하시길 바랍니다.